모자멸자(母慈滅子)
모자멸자(母慈滅子)란 그 어머니가 인자하여 도리어 아들을 망친다는 뜻인데 다시 말해 사주 중에 인수가 너무 많으면 그 사주는 불길하게 된다는 것이다,
모자멸자(母慈滅子)는 인수태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강격이 되는 것인데 비겁운을 크게 기뻐한다, 모친의 생을 나 혼자 받기에는 너무 태과하여 불길하나 그 사랑을 나의 형제 되는 비겁이 나누어 받게 되면 왕한 인수가 설기 되어 길하게 됨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가 극하는 財를 얻게 되면 인수를 제어하여 나의 위기를 모면하여 살게 되는 것인데, 다만 인수가 왕한데 財 역시도 인수를 극할만한 뿌리가 튼튼하게 자리 잡아야 하는 것이지 약한 財가 왕한 인수를 극한다고 하다가는 도리어 화를 입게 되는 것이다.
시 | 일 | 월 | 연 |
壬 | 丁 | 甲 | 癸 |
寅 | 卯 | 寅 | 卯 |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大運 乾 |
→ 정화 일간 지지 목국을 이루고 천간으로 갑목을 투출하였으니 인수태왕으로 목다화식(木多火熄)이 되어버린 모자멸자가 분명하다. 연간의 계수를 용하고자 하나 계수는 木을 생하기에 불용하고 시간의 임수는 정화와 합하여 정임합 목을 이루어 이 또한 불용이다. 寅 중 丙 겁재를 용하게 되어 해자축 수운에 불길하였고 신유술 금운에는 금목상쟁으로 왕한 木을 노하게 하여 몸 하나 의탁할 곳 없이 60 평생을 지내다가 정미, 병오 화운을 만나 왕한 인수가 설기 되어 늦은 나이에 첩에게서 자녀를 얻었고 수만금을 벌게 되었으며 90을 넘어 수명을 다하였다.
시 | 일 | 월 | 연 |
戊 | 甲 | 壬 | 壬 |
辰 | 寅 | 子 | 辰 |
己 戊 丁 丙 乙 甲 癸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大運 乾 |
→ 갑일간 왕한 인수 水를 보아 모자멸자인데 다행히 寅 祿을 놓고 寅辰 목국을 이루어 부목(浮木)됨을 면하였고, 시간의 財 무토를 보아 왕한 水를 막아주어(君賴臣生: 신하인 재성이 인수를 제어해 주는 것) 흉함이 길로 변하였다. 火, 土 운에 대부귀한 사주이다.
시 | 일 | 월 | 연 |
戊 | 辛 | 戊 | 丙 |
戌 | 丑 | 戌 | 戌 |
甲 癸 壬 辛 庚 己 辰 卯 寅 丑 子 亥 大運 乾 |
→ 辛금 일간 인수성인 土가 태왕하여 모자멸자가 분명하다. 관성인 병화를 용하고자 하나 병화는 인수를 생하여 불용한다. 수운에 潤土養金 하여 부귀가문에서 출생하여 행복하게 자랐는데, 木 운을 만나 왕한 인수를 극하니 범모지운(犯母之運)이라 하여 재앙이 반드시 이르게 되는데 벼슬 자리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시 | 일 | 월 | 연 |
庚 | 癸 | 乙 | 庚 |
申 | 卯 | 酉 | 辰 |
壬 辛 庚 己 戊 丁 丙 辰 卯 寅 丑 子 亥 戌 大運 乾 |
→ 계수 일간 인수성 태왕한데 관성이 辰를 용하고자 하나 酉과 합을 하여 금을 생하기에 불용하고, 乙을 용하고자 하나 庚과 합을 하여 금으로 변하였고 일지 묘목은 酉과 충을 하여 가상관(假傷官)으로도 사용할 수 없다. 모자멸자일 것이냐 종강격이냐를 논해야 할터인데 申辰 수국으로 乙을 생할 수 있어 滅할 정도까지는 아니니 음간인 계수가 金 세력에 종하게 되는 종강격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해자축 수운도 길했으며 庚, 辛 운에 재무부 장관이 된 사주이다.
※ 기억해야할 부분
- 모자멸자(母慈滅子) 인지 종강격(從强格)인지 군뢰신생(君賴臣生)인지 구분할 것.
- 모자멸자이면 대운에서 순모지운(順母之運: 왕한 인수의 기를 설하는 운 ) 인지 역모지운(逆母之運: 왕한 인수를 극하는 운)인지 분명히 가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