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론(十干論)은 사주명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천간(天干)인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의 성격과 그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개인의 성격, 운세, 그리고 삶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편에서는 甲乙 목(木)기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甲
생명, 소나무, 곡식, 과수, 우두머리, 상승, 고층, 교육, 사업, 아이디어, 리더십, 올곧은 기개, 자존심, 섬유, 의복, 토목, 출판
쌍목위림(雙木爲林)
사주에서 갑목(甲木)과 갑목(甲木)이 병립해 있고 두 개의 목(木) 기운이 만나 서로의 힘을 강화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숲의 기상, 활동력이 왕성하고 모든 경쟁력에 강한 면모를 보입니다. 그러나 갑목(甲木)의 기운이 너무 강하고 무토(戊土) 즉, 땅의 기운이 약하면 심을 땅이 부족하니 서로 우위를 점하려 경쟁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특징도 있으며, 거목들이 무성하게 위치해 있어 태양빛이 골고루 비추지 아니하니 갑갑한 모습을 타나내기도 합니다.
등라반목(藤蘿絆甲)
사주에서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의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 담쟁이 넝쿨(乙)이 소나무(甲)를 휘감고 올라가 태양의 기운을 맞이하려는 격으로 甲의 입장에서는 내 양분을 나눠줘야하는, 도움을 받기보단 도움을 줘야하는 달갑지 않은 존재입니다. 휘어감는 넝쿨로 인해 예민해지고 히스테리적인 성격을 보일 수 있고, 단 甲의 설기가 심하고 관살(官殺)의 기운이 할떄는 乙의 조력을 받기도 합니다.
청룡반수(靑龍返首)
갑목(甲木)과 병화(丙火)의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서 양기의 기운이 강하게 드러나는 상황을 의미하며 개인의 능력과 권위가 뚜렷해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거목이 태양의 기운을 받아 실력을 발휘하고 성취를 이루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태양을 보며 자라는 나무의 모습이여서 인물좋고, 베풀 줄 알며 밝은 성향으로 인해 인기가 좋다. 단, 병화(丙火)를 2개 이상 투출하면 하고 싶은 일, 해야할 일이 많아 산만해지고 정리정돈을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신유화(有薪有火)
甲(갑)과 丁(정)의 관계를 '불이 장작을 얻어 잘 타는 모습'으로 표현한 것으로 지식의 축적과 창의적인 사고를 상징하며, 개인의 두뇌가 명석하여 사물에 대한 이해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여름 태생이 조열하면 모든 것을 태워버림으로 히스테리 성향을 보이고 불구자가 되기도 하며, 불법적인 일에도 가담하기도 합니다. 겨울생의 경우 甲일간에게는 난로와 같은 의미이기에 봉사활동과 같은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독산고목(禿山孤木)
甲(갑)과 戊(무)의 관계를 '민둥산에 홀로 선 나무'로 표현하여 고독하고 외롭게 살아가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무토(戊土)가 지지에 근(根)이 없이 홀로 있으면 생명체를 키워야할 소명은 있으나 심을 땅이 빈약하므로 일의 시작은 있으나 일의 마무리를 짓지 못하여 허망한 결과를 마주하기도 합니다.
양토육목(壤土育木)
甲(갑)과 己(기)의 관계를 ' 부드럽고 비옥한 땅에서 자라는 나무'로 표현하는 뜻으로서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환경에서 성장하는 사람의 성격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기토(己土)가 지지에 뿌리없이 있다면 작은 논, 밭에 쓰러진 거목이라 재물활동으로 약간의 재물은 얻을 수 있겠으나 명성은 얻기 힘들 수 있습니다. 甲일간이 己와 합하면 자린고비의 성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흔목위재(欣木爲財)
갑목(甲木)이 경금(庚金)을 만나면, 도끼로 나무를 찍어 대들보의 재료로 만든다는 의미로 쓰임이 있는 좋은 재목이 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갑목(甲木)의 기운이 왕하여 경금(庚金)으로 가지치기 해주면 절제력으로 일의 도모가 쉽고 자극받아 분발함을 의미하기도 하여 군,검,경의 직업 계통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반대로 경금(庚金)의 강하고 이를 제어해 줄 병화(丙火)나 정화(丁火)가 없으면 살(殺)의 기운으로 범법자의 길을 갈 수도 있습니다.
목곤쇄편(木棍碎片)
갑목(甲木)과 신금(辛金)의 관계를 '잘게 부수어져 쓸모없는 조각'으로 표현하여 작은 칼로 큰 나무를 베는 것은 어렵고, 흠집만 내는 모양새로 큰일을 도모하지 못하거나 고위직에 오르지 못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목(木)기운이 왕성하고 을목(乙木)까지 가세할 때는 신금(辛)이 을목(乙木)을 가위로 잘라내주어 재물의 손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횡당유영(橫塘柳影)
갑목(甲木)과 임수(壬水)의 관계를 '가로지른 연못에 수양버들이 그림자를 드리운 모습'으로 표현하며, 인물이 좋고 이 기운을 가진 사람은 대체로 사교적이며, 사람들과의 관계를 잘 형성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수근로수(樹根露水)
갑목(甲木)과 계수(癸水)의 관계를 초목이 비를 맞아 싱싱한 격으로 표현하며 지식이 많고 두루 호평받는 처세가의 모습을 의미합니다. 단, 계수(癸水)의 기운이 두개 이상 투출하고 수왕(水旺)할 경우 나무는 썩으며, 태양을 가려버리는 구름의 역을 하니 열매가 결실을 맺지 못하기 때문에 게으르며 실천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입니다.
乙
온실 속 화초, 야생초, 꽃, 담쟁이 넝쿨, 새, 바람, 예체능, 섬유, 종이, 디자인, 수공예, 언변 좋음, 미적 감각, 기회주의, 역마, 시인, 중풍, 선인장, 난, 약초
등라계갑(藤蘿繫甲)
을목(乙木)이 갑목(甲木)에 매달려 올라가는 모습을 비유한 것으로, 을목이 갑목에 의존하여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을목 (乙木) 은 쇠약하고 의지할 곳 없이, 갑목 (甲木) 이 가까이 있으면 갑목(甲木) 즉, 귀인의 조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복음잡초(伏吟雜草)
을목(乙木)끼리 얽혀서 무성하게 자라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개인이 주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형제나 동료의 덕이 부족한 상황을 나타냅니다. 질긴 근성을 가지고 주변의 도움 없이도 자생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이는 개인이 독립적으로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염양려화(艶陽麗花)
을목(乙木) 이 병화(丙火)를 보아 아름다운 꽃이 태양의 빛을 받아 찬란하게 빛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인물이 수려하고 자신의 재능과 매력을 발휘하여 주목받는 상태를 나타내며 총명하고 풍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겨울철 을목(乙木)이 왕성하고 그 어디에도 火의 기운이 없으면 진드기만 붙어 기생하는 모습이라 대인관계에 있어 항상 금전문제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화소초원(火燒草原)
을목(乙木)이 정화(丁火)를 보아 '초원이 불타는 형상'으로, 재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인정을 받지 못하는 불우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한겨울 밤에 태어난 을목(乙木)이 기댈 곳이 정화(丁火) 뿐이라면 밤에 피는 꽃으로, 감성과 예술성이 발달하고, 봄철 태어난 을목(乙木)이 습냉한 구조가 되면 정화(丁火)는 매캐한 연기만 나고 장작의 역할을 하지 못해 눈물 흘리는 세월의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선화명병(鮮花名瓶)
을목(乙木) 이 무토(戊土)를 보아 '아름다운 꽃이 그려진 화병'을 의미하며, 개인이 가진 재능이 잘 발휘되어 부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높은 산에 아름답게 피어난 꽃이기는 하나 사람들이 자주 찾지 않는 외로운 이름모를 꽃이기에 고독함을 내포하기도 합니다.
양토배화(壤土培花)
을목(乙木)이 기토(己土)를 보아 '비옥하고 좋은 토양에서 꽃이 자란다'는 의미로, 이는 개인이 예술계통에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나타냅니다. 단, 병화(丙)나 정화(丁火)가 없으면 음지의 꽃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 없는 무명의 예인으로 살아갈 확률이 큽니다. 또한, 수(水)기가 전혀 없으면 메마른 들판의 잡풀이 되어 재운도 기대할 수 없으나, 을목(乙木)의 뿌리가 있으면 밣힌 세월이 많아도 끈질긴 생명력으로 다시 일어서 밀고 나아가는 힘이 강합니다.
백호창광(白虎猖狂)
을목(乙木)이 경금(庚金)을 보아 백호가 난폭하게 날뛰는 모습을 형상한 것으로, 주로 재앙이나 불운을 예고하는 격을 의미합니다. 뿌리가 없는 을목(乙木)이 가을,겨울철의 경금(庚金)을 보면 서릿발 같은 칼날에 상하게 되어 일반직장 생활을 하게되면 안정되지 못하여 이동이 잦고, 여성의 경우 경금(庚金) 남자를 만나 고통스러운 세월을 보낼 수 있습니다. 을목(乙木)의 기운이 강하여 경금(庚金)을 다스릴 수 있다면 도끼와 같은 좋은 연장으로 활용하여 일의 성취를 이루어 낼 수 있습니다.
이전최화(利剪摧花)
을목(乙木)이 신금(辛金)을 보아 날카로운 가위로 꽃을 자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주로 직장이나 대인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직장 보다는 업상대체의 물상으로 대표적 미용업이나 조각가와 같은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한 직업이 추천되며, 신경계와 관련된 건강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출수부용(出水芙蓉)
을목(乙木)이 해수(亥水)를 보아 물 위에 떠 있는 연꽃의 형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성장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수(水)의 기운이 왕하면 바다위에 떠다니는 부평초가 되어 한 곳에 정착하여 살기 힘들며 질병으로 고생할 수 있습니다. 역마의 기운이 강하므로 무역업, 항공/여행/숙박업, 수산계통 직종이 적합합니다.
청초조로(靑草朝露)
을목(乙木)과 계수(癸水)의 조합을 ' 푸른 풀잎에 맺힌 아침 이슬'로 표현하는 것으로, 대인 관계에서 좋은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타인의 도움을 받아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여름생은 비를 맞아도 갈증을 해소해주므로 좋으나, 가을의 비는 태양의 빛도 가려버리고 수확의 결실도 보지 못하여 일의 계획적인 진행이 어렵고 겨울의 비는 모든 것을 얼어붙게 만들므로 고초의 세월을 겪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