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역하면 외로운 난새라는 뜻으로 혼자서 외롭게 소리 내어 우는 새를 의미합니다. 공방살(空房殺)이라 하여 빈 방 외로이 홀로 지킨다 하여주로, 여성의 결혼과 애정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표에서와 같이 나타난 일주들이 고란살에 해당하며, 여성에게 남편 별이 관(官)인데, 인종법으로 절(絶), 태(胎)지에 해당하여 관의 힘이 미약해져 부부관계가 유정하지 못함을 나타냅니다.
- 갑인일주의 경인 절지(絶支), 을사일주의 신묘 절지(絶支) , 무신일주의 갑신 절지(絶支) , 정사일주의 임사 절지(絶支) , 신해일주의 병해 절지(絶支) , 갑인일주와 정사일주와 같이 간여지동(干與支同)은 나의 기운이 강해 배우자 자리를 극하는 것으로 남자나 여자를 막론하고 부부관계의 불미함이 있습니다.
- 을사, 무신, 신해일주와 같이 상관을 놓으면 결혼해서 자식을 낳고 남편을 극한다 하여 관계 불화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실제예시) 정사일주 여명의 사주로, 재취자리로 시집을 갔으나, 연이은 남편의 사업실패, 도박으로 재산을 탕진하고 벌이 없이 백수생활을 하여 이 여성이 자녀를 키우기 위해 생업전선에 뛰어들어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의 역할을 하는 중, 경인(庚寅)년 남편과 사별(死別). 정사일주 고란살에 극 신강한 사주이며, 임수(壬水) 정관(正官) 이 버틸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에, 결혼 후 고통의 세월을 보냄. 앞으로의 대운도 화운으로 흐르니 외롭도다.
시 | 일 | 월 | 연 |
임(壬) | 정(丁) | 갑(甲) | ㅇ |
인(寅) | 사(巳) | 인(寅) | ㅇ |
고란살은 전통적으로 남편 복이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여겨졌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신살이 있는 여성들이 독립적이고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외로운 신세라 하여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며 홀아비, 과숙은 여성에게 해당하는 글자이며 밤에 옆에 있어줄 사람 없어 외로운 과부팔자를 의미하며 일지, 시지의 영향력이 크므로 고신과 과숙이 일지에 놓이면 부부관계가 좋지 못하고, 시지에 고신과 과숙이 있다면 말년이 고독할 수 있습니다.
화개살이 중중할 시 스님 팔자일 수 있다 하여 외로운 삶의 모습을 나타내며, 백호, 괴강과 같이 놓여 있으면 그 작용이 더 크다고 봅니다. 주말부부를 한다던가, 해외출장이 잦아 자주 볼 수 없는 경우, 서로 바쁘게 사회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이별하지 않고 살아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생년지 기준 하여 과숙(寡宿)은 방합의 앞 글자로 진,술,축,미의 사고(四庫)이며 , 고신(孤神)은 방합의 다음 글자로 인,신,사,해 역마의 사생(四生)입니다.
실제예시) 유(酉) 월생 신미일주 여명의 사주로 신강 하며, 남편의 바람으로 눈물 흘린 날이 많고 우울감에 빠져 생활.
시 | 일 | 월 | 연 |
ㅇ | 신(辛) | ㅇ | 신(辛) |
ㅇ | 미(未) | ㅇ | 유(酉) |
년, 월, 일, 시에 위치한 과숙, 고신을 육친에 대입하여 풀이하되 원국을 먼저 살펴보고 과숙, 고신에 해당하는 글자가 길(吉) 하면 불필요한 풀이를 첨(添) 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