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추명가 남명 성정편

by 목원 穆湲 2025. 1. 27.
728x90
반응형

추명가 남명 성정 편

 

갑을(甲乙) 일생 태운성격 의지곧고 뚝뚝하나 시종일관 불변하여 만인신망 얻어지네

 

甲, 乙 일생이라 하면 木일주인데 木일주가 신강하면 금으로 제어하기가 힘들어지고, 부드러움이 부족하기는 하나 강인함과 굳건함으로 마음먹은 일은 변함이 없어 사람들로부터 신망을 얻는다. 

갑목은 천간의 시작으로 우두머리이고 우뢰이자 용, 계절로는 봄에 해당하며, 태초의 생명으로 항상 새로운 시작을 뜻한다. 나무일지라도 꺾이거나 쉬이 부러지지 않고 꿋꿋하며 다 자란 나무이므로 쓰임새가 있게 된다.

 

을목은 바람, 넝쿨, 새를 형상하고 갑목과는 다른 유연함을 지니며 자유롭다. 을목이 많은 사람은 일찍 애정사가 일어나고 금기가 약하여지므로 얼굴색은 하얗고 호흡기 질환으로 고생을 하게 되며 노년에 풍질로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병정(丙丁)일생 구변(口辯)유능 소진장의(蘇秦張儀) 닮게되고 호례다양(好禮多讓) 명랑한데 감정편중 되기쉽네

 

火일주는 중국 역사에 등장하는 화술의 대가인 소진과 장의에 비유하여 언변 능력이 좋아 상대방을 설득하고 나의 주장에 동조하게 만드는 재주가 좋기 때문에 협상의 명수요, 설교에는 일등이라 하였다.

 

투시력이 월등하여 사람을 보는 즉시 잘 판단하고 하나를 배우면 열 가지 효과를 내나 비밀을 감추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장기전보다는 속전속결에 능하고 적응력이 빠르나 쉽게 싫증을 내며, 예의를 중시하나 의리가 약한 것이 흠이다.

 

 

 

무기(戊己)일생 태운자는 항상언행 회고(回顧)하고 군자지풍 있지만은 시기일실(時機逸失) 많이한다

 

土일주는 항상 과거의 일을 돌아보는데 일가견이 있다. 군자의 위풍과 근엄함이 있고 신중함으로 중용을 고수하나 애늙은이 소리도 듣게 되고 이것저것 저울질 하다가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요즘 같이 스피드를 요구하는 사회에서는 적응하기 힘든 스타일이 되기 십상이니 순간적인 판단력과 순발력이 요구되기도 한다.

 

무기(戊己)일생 허약하고 상관용재 못이루면 그중심을 못잡아서 사사건건 허실하다

 

土일주가 상관이 많아 일주의 기운만을 빼기 때문에 신약 한데, 상관이 일주의 기운만 받아먹기만 하고 베풀지 못하여(재를 생하지 않아) 일주만 힘이 드는 것이다. 일주가 신약 하면 중심이 없으니 줏대도 없고 이리저리 흔들리기만 할 뿐이다.

 

경신(庚辛)일생 태운몸은 과감용단 하지만은 견실(堅實)한기(氣) 고유하여 냉정한편 성격이라

 

金일주는 의리를 중시하고 결실을 의미하여 결과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완벽함을 추구하나 지나친 완벽주의로 인하여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돌다리르 두드리다 지팡이가 부러지는 격이다.

항상 냉정을 잃지 않음으로 인하여 감정에 치우치지를 않고, 일단 결정을 내리면 일의 추진력이 강하다. 

사람들이 쉽게 다가오기 힘든 면모가 있어 대인관계의 융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신축묘미(辛丑卯未) 기일생인(己日生) 너무견실 특성있어 아독청청 할려하니 보통교제 난하도다

 

신축(辛丑), 신묘(辛卯), 신미(辛未) 일주는 외골수 성향이 강하고 남의 충고나 잔소리를 듣기 싫어하며 외모를 가꾸는 일에 있어도 명품이나 브랜드를 선호하여 잘난 멋을 뽐내려 하는 기질이 있다.

스스로 실패하고 낙담을 한 후에야 충고가 귀에 들어오게 되니 무엇을 하던 본인이 스스로 경험하게 내버려 두는 것이 상책이다. 친구를 사귀면 믿고 오래 사귀려는 심리가 강하고 믿게 되면 물, 불 가리지 않게 되니 대인관계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원만한 듯하면서도 까다롭고 고집도 세며, 간섭받는 것을 싫어한다.

 

임계(壬癸)일생 그성질은 털털하고 절약없어 허비만전虛費萬錢) 하게되나 원만성과 자비로다

 

水일주는 털털한 성격이고 절약 마인드가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물은 흐르는 것이라 주머니에 남는 것이 없는데, 없어서 못쓸 뿐 있으면 아끼지 않는 스타일이다.

옷을 입어도 맵시 있게 잘 입지만, 관리가 허술하여 새 옷의 형태가 얼마가지 못한다.  금전관리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자신의 기억만 믿고 관리에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는데 재다신약의 경우 특히 그러하다. 

심성이 독해 보이지만 원만하고 타협을 잘하는 성격이고 타인의 어려운 상황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를 못한다.

 

임계(壬癸)일생 실중화(失中和)는 명랑성이 결함되어 제삼자가 대할적에 어리석어 보이도다

 

水일주가 수왕하거나 일주 매우 신약 하여 균형을 잃었을 경우인데,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듯하니 줏대도 없어 보이고 어리석어 보인다는 의미이다.

임기응변에는 탁월한 재능이 있다 하나 철이 늦게 들어 이제 일을 도모하려니 지나간 세월의 야속함에 한탄만 하게 된다.

 

병정(丙丁)일생 식신격(食神格)은 비만체구 호인이나 병정일생 재살다(財殺多)는 신경질이 두렵도다

 

火일주에게 식신은 土인데 土는 인체로 보면 살, 근육이 된다. 화가 토를 자꾸 생하여만 주니 살이 찌고 비만이 되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비만체격은 호인이나 신체적 율동감이 부족하여 부지런함은 떨어진다. 비만은 방지하는 방법은 한템포 빠르게 움직이면 도움이 된다. 

반면 화일주에 金 재성이 너무 많게 되면 矡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금다화식) 온기를 잃게 되고 설상가상으로 水 관성이 가세하면 냉기가 감돈다. 화는 정신인데 정신이 없어 항상 헤매고 멍해지니 매사 실수가 많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