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명가 여성 질병편 - 호흡기 질환
寅, 卯 월과 여름에 태어난 辛일간은 목, 화의 기운이 왕하면 신경쇠약 우려있고, 甲, 乙일생 화왕한 사주는 금이 녹게 되니 천식과 같은 호흡기 계통에 질환이 있게 된다.
庚 | 辛 | 丁 | 己 |
寅 | 巳 | 卯 | 未 |
己 | 甲 | 乙 | 丙 |
巳 | 午 | 未 | 申 |
→ 수의 생조를 받지 못하고 사목이 되었고 목이 마르니 술을 마셔도 잘 취하지 않고 식상이 과다하여 먹고 마시며 놀기 좋아하여 방탕한 생활로 흐르기 쉽다.
- 목일간 가을 출생자 두통빈번하고, 여름 출생자는 편도선이 약해진다.
庚 | 乙 | 甲 | 乙 |
辰 | 酉 | 申 | 丑 |
→ 가을 출생한 을목일간 금의 극을 많이 받고 있다. 금목상전의 경우 통증에 시달리는데 두통은 물론 신경이 약화되어 신경계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丙 | 甲 | 壬 | 丁 |
寅 | 午 | 寅 | 卯 |
→ 갑일간 한기가 남아 있는 인월에 태어났다하나, 인오 화국을 형성하고 천간에 병화, 정화를 모두 투출시켜 목생화의 구조로 화기가 매우 강하다. 자연히 금의 기운이 약해지게 되므로 기관지 계통이 약해지는데,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 주의해야하며 동시에 호흡기 질환도 생길 수 있으므로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甲 | 丙 | 丙 | 己 |
午 | 辰 | 寅 | 巳 |
→ 인월에 태어난 병화 일간 화세가 강하여졌다. 인사형 되어 있고 사중 경금이 화의 극을 받고 있으므로 피부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일광욕은 피해야 한다.
봄, 여름에 태어난 금일간(庚, 辛) 목, 화가 왕하면 금의 기운이 미약해지므로 기관지가 약해지고, 천식, 백일해, 축농증, 치질, 맹장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 있다.
임일간 인오술 화국을 놓거나 재살 태왕하면 기관지 질환으로 고생할 수 있다.
壬 | 壬 | 壬 | ㅇ |
寅 | 午 | 戌 | ㅇ |
→ 임수일간 술월에 태어나 화국을 놓고 있어 물이 말라가고 있다. 금생수로 생조 받고 싶으나 금조차 강한 화기에 맥을 춘다.
무토, 기토 일간 재성과 관살이 왕하면 土의 장기인 비장, 위장이 약해지는 것이고,
경금, 신금 일간 재성과 관살이 왕하면 폐와 대장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요.
乙 | 己 | 乙 | 癸 |
亥 | 酉 | 卯 | 亥 |
→ 실제 감명 사례로, 기토 일간 매우 신약하고 재성의 생을 받은 편관의 극이 심하여 위장이 좋지 못하다. 소화력도 떨어지고 위장병을 달고 산다. 40이 넘도록 살이 쪄본 적이 없다.
庚
대장은 소화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의 일부분으로 소장에서 부터 항문까지 이르는 부분을 설명하는데 소화와 흡수작용을 하면서 처리된 찌꺼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부분이 열을 받게 되면 배설에 문제가 생겨 설사 또는 치질의 질환으로 고생하게 되는 것이다.
丙 | 壬 | 庚 | 丙 |
午 | 寅 | 寅 | 寅 |
→ 실제 감명 사례로, 부친은 직장암으로 6년 투병하다 死. 이 명조도 경금이 열을 받아 매번 설사를 겪는등 배설의 문제가 있다.
辛
뜨거운 열기로 인해 폐에 염증이 생기면 폐렴이 되는데, 백일해, 천식, 결핵과 같은 질병에 취약하므로 건강관리에 유의해야하며, 피부 또한 열기가 강해지면 건선으로 이어질 수 있어 아토피와 같은 질환이 생길 수 있으므로 관리에 신경써야하 한다.
丁 | 辛 | ㅇ | ㅇ |
酉 | 亥 | 亥 | 子 |
→ 신금 일간 식상인 수가 왕하고 화기가 약한데도, 입술, 손, 얼굴 피부가 매우 건조하다. 금수 왕하기 때문에 여명은 자궁질환으로 고생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