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의 기초 공부>
사주의 상생상극(相生相剋), 모든 오행(五行)의 이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부터 시작합니다.
하도(河圖)는 상고시대 때의 태호복희씨(太昊伏羲氏)가 하수(河水) 강가에 나타난 신비한 동물 용마(龍馬)의 등에 난 점을 보 그린, 오행의 상생(相生) 의 이치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시계방향의 흐름으로 오행을 생(生) 하는 모습입니다.
수(水)
|
생生 |
목(木)
|
생生 |
화(火)
|
생生 |
토(土)
|
생生 |
금(金)
|
생生 |
수(水)
|
낙서(洛書)는 하나라 우임금인 하우씨(夏禹氏)가 낙수(洛水) 강가에 나타난 신령스러운 거북인 신구(神龜)의 등에 있던 무늬를 보고 그린, 오행의 상극(相剋) 의 이치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하도(河圖)와 달리 낙서(洛書)에서는 토(土)의 수는 5 로만 나타냅니다.
시계 반대방향으로 오행을 극(剋) 하는 모습입니다.
수(水)
|
극剋 |
화(火)
|
극剋 |
금(金)
|
극剋 |
목(木)
|
극剋 |
토(土)
|
극剋 |
수(水)
|
木, 火, 土, 金, 水 오행(五行)의 이치는 자연의 모습으로부터 왔습니다.
명리에서 사용되는 오행의 원리는 자연의 순환과 생명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수분을 공급 받은 생명은 태양을 보며 자라며, 태양의 빛이 고르게 땅을 비추어 자갈들 사이사이 비가 오면 물길을 열어 다시 생명의 뿌리에 물을 공급하여 생명을 키우는 자연의 법칙을 적용한 것입니다.
※ 후천수
생명 활동의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오행을 생명의 시작인 수(水)를 1로 하여 시작하고, 1,3,5,7,9 홀수는 양의 수이며, 2,4,6,8,10 짝수는 음의 수입니다. 하여 양의 수는 천간(天干)의 양간(陽干)인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을 나타내며, 음의 수는 천간의 음간(陰干)인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를 나타냅니다.
명리에서 간명시 자주 활용되는 수입니다.
후 천 수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
3 | 8 | 7 | 2 | 5 | 10 | 9 | 4 | 1 | 6 |
※ 선천수
선천수는 천간의 합과 지지의 충의 이치로 갑,기,자,오 는 각각 9 / 을, 경, 축, 미는 각각 8/ 병, 신, 인, 묘는 각각 7/ 정, 임, 묘, 유는 각각 6/ 무, 계, 진, 술 은 각각 5/ 사, 해는 각각 4의 선천수를 나타냅니다. 선천수에는 1,2,3의 수가 없는데, 이는 천지인(天地人)의 조화된 석 삼(三) 에서부터 생(生) 했기 때문입니다.
천간(天干) 합(合) | 지지(地支) 충(沖) | 선천수 | ||||
갑(甲) | + | 기(己) | 자(子) | ↔ | 오(午) | 9 |
을(乙) | + | 경(庚) | 축(丑) | ↔ | 미(未) | 8 |
병(丙) | + | 신(辛) | 인(寅) | ↔ | 신(申) | 7 |
정(丁) | + | 임(壬) | 묘(卯) | ↔ | 유(酉) | 6 |
무(戊) | + | 계(癸) | 진(辰) | ↔ | 술(戌) | 5 |
사(巳) | ↔ | 해(亥) | 4 |
후천수(하늘이 열린 후)는 사주 명리와 성명학, 기문둔갑, 매화역수에서 사용되어지고, 선천수(하늘이 열리기 전)는 주역의 괘, 육효, 납음오행에서 사용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