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형, 충, 파, 해 개념 알기

by 목원 穆湲 2024. 9. 13.
728x90
반응형

형(刑), 충(沖), 파(破), 해(害)의 원리 개념 익히기

명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개념으로, 나쁜 사주 없고 좋은 사주 없다는 것을 이 개념을 이해하고 대운과 세운에서 오는 글자들을 사주팔자에 접목해, 변화되는 길흉의 모습을 어떻게 보여주는지를 많이 접하다 보면 알 수 있으라 사료됩니다. 지지(地支)에서 일어나는 변화로서 사주팔자 내에서 서로 붙어있어야 발현되며, 원국에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행운에서 오는 글자가 형(刑), 충(沖), 파(破), 해(害)의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지지의 모습을 살펴본 후 길흉을 따져 간명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형(刑)

지지(地支)의 방합과 삼합의 원리에서 생겨난 개념으로, 인신(寅申), 자묘(子卯), 진진(辰辰), 인사(寅巳), 오오(午午), 술미(戌未), 사신(巳申), 유유(酉酉), 축술(丑戌),  해해(亥亥), 축미(丑未) 형이 나타나게 됩니다.  

직업적 물상으로는 센 직업에 해당하며, 신강한 사주에서 대국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장관, 대통령등과 같은 고위직 인사가 이에 해당하고 사주가 청기하고 신약 하다면, 의료직, 세무, 교도관, 검찰, 경찰, 군인이 해당하며, 그다음으로는 활인업, 종교계, 수선, 정육점, 총/포를 다루는 직업이, 사주가 탁기하고 신약 하면 성격이 난폭해지고 형(刑)을 다룰 수 없기에 형무소에 출입하는 범법자들의 유형이 많습니다.

※형의 작용

  • 조정, 타협, 협의, 재가공, 경매의 물상으로 표현됩니다.
  • 감정적 갈등이나 압박감, 불만이 증폭될 수 있습니다.
  • 형사적인 문제나 법적 분쟁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 관재, 송사, 사고, 질병, 수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지세지형(持勢之刑)

인(寅)은 사(巳)를 데리고 인오술(寅午戌) 화(火)의 기운을 펼치려 하지만 사(巳) 는 금(金)의 기운으로 수렴하려해 인목을 거부,  사(巳) 는 신(申) 을 데리고 사유축(巳酉丑) 금의 기운으로 가려하지만 신(申)금은 신자진(申子辰) 수(水)의 기운으로 수렴하려고 해 사화를 거부하여 세력을 가지려 하지만 가지지 못하는 모습을 형(刑)에 비유합니다.

  • 인신(寅申) : 이동, 사고수, 바쁜 활동
  • 인사(寅巳) : 암합조차 없기에 형의 작용이 크며, 시비, 송사, 교통사고
  • 사신(巳申) : 합으로 묶여있는 사이이기 때문에 사이좋았다가 멀어지는 모습, 반복적인 과정

2. 무은지형(無恩之刑)

은혜를 모르고 배신을 한다라는 의미가 있고 축(丑)는 금의 기운으로 마무리하려하나, 술(戌)는 금의 기운을 생하려 하고 술(戌)는 화의 기운을 마무리하려하나, 미(未)가 화의 기운을 살리려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친구인 줄 알았으나 뒤로는 나의 뜻과 다른 행동을 하려는 성질 때문에 배신, 배반의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토(土)의 형(刑)/ 충(沖)은 개고(開庫)와 입고(入庫)의 개념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장간 속 글자들의 변화를 주의깊게 살펴봐야합니다. 

  • 술미(戌未) : 갈등, 압박, 예민, 고집
  • 축술(丑戌) : 형제, 동료의 배신, 다툼, 송사, 관절 질병
  • 축미(丑未) : 이사, 문서의 손바뀜, 미(未) 중 을목이 축(丑) 중 신금에 극을 당하면 수족의 문제

3. 무례지형(無禮之刑)

자묘(子卯) : 차디찬 물로 꽃을 키우겠다 욕심을 부리나 얼려 죽이는 모습으로, 사주 원국에서 자월 생 신강하고 자묘형을 놓았을 때, 자(子) 또는 묘(卯) 운에 건강 악화, 수술사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자(子)시에서 묘(卯)시 사이의 어두운 시간에 일어나는 행위 또는 어둔운 곳에서 봐야하는행위로 표현하여 뇌물, 구설, 수술, 불륜, 성병, 치질 등의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실제예시) 묘(卯) 세운에 손가락 두 개 절단. 자묘형(子卯刑)의 물상으로 겨울의 자수가 강왕하여 묘(卯)를 형(刑)하는 모습

갑(甲)
묘(卯) 자(子) 해(亥) 해(亥)

4. 병존 자형(自刑)

  • 진진(辰辰) : 구설, 피부습진, 익사
  • 오오(午午) : 가스중독, 폭발, 화재, 화상, 자살, 다혈질
  • 유유(酉酉) : 강한 금기운으로 수술수, 음독자살
  • 해해(亥亥) : 태과한 수기운으로 수해, 침수, 폭우, 냉해의 피해의 재난

실제예시) 부친 정화(丁火) 그 어디에도 힘 받을 곳이 없는데 불이 꺼지지 않게 정임합(丁壬合)으로 임수가 묶어 두고 있는 와중 합이 풀리는 정해(丁亥)년에 부친 음독자살.

임(壬) 정(丁)
신(申) 진(辰) 유(酉) 유(酉)

5. 삼형살

  • 축술미(丑戌未), 인사신(寅巳申) 의 삼형살은 고집이 세고 불같은 성격으로 원만하지 않거나 타협하기 힘들며 급한 성정을 지녔습니다. 지지에 자, 오, 묘, 유와 있으면 공직자가 많고, 진, 술, 축, 미와 있으면 의료인이 많습니다. 그리고 역마의 삼형으로 이동수가 많은 직업과도 인연이 있습니다. 삼형의 사주가 탁하거나 운기의 흐름이 나쁠 경우 범법자들의 사주가 많습니다.
  • 인신사술- 전문, 프로, 자격의 의미로 교사나 교수, 국가 기능사, 종교인들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실제예시) 경찰의 사주로 월지에 록을 놓은 경금은 신강하여 삼형을 능히 다룰 수 있습니다.

경(庚)
사(巳) 인(寅) 신(申)

인(寅)대운에 살인을 저지른 범죄자의 사주로 신약한데다 그나마 의지하고 있는 시지의 신(申)을  충(沖)하는 대운과 형살(刑殺) 발동시키는 세운에 불미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병(丙) 신(辛)
신(申) 사(巳) 해(亥) 인(寅)

 

충(沖)

정반대의 기운이 서로 부딪혀 깨지는 물상으로 성패(成敗)의 유무를 나타냅니다. 형(刑)의 작용과는 다르게 고민하거나 합의를 볼 시간 도 없이 모 아니면 도의 방식으로 일이 진행됩니다. 합이면 좋고 충이면 나쁘다는 식의 단편적인 해석은 오류를 범할 수 있습니다. 천간의 합과 마찬가지로 기신인 글자는 쳐내주면 길(吉)하고, 희신인 글자를 충하면 대흉(凶)하듯, 각자의 사주팔자 내에서 합, 형, 충, 해, 파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본 후에 길흉을 판별해야 합니다.

지지(地支) 7번째의 글자끼리 충(沖)을 하여 자(子), 오(午), 묘(卯), 유(酉) 왕지끼리 충을 하고 인(寅), 신(申), 사(巳), 해(亥) 생지끼리 충, 진(辰), 술(戌), 축(丑), 미(未) 고지끼리의 충(沖)이며 천간과 마찬가지로 지지의 충은 모두 수(水)와 화(火)의 충, 금(金)과 목(木)의 충으로 이 이뤄짐을 알 수 있습니다. (진토의 계수, 술토의 정화,축토의 신금, 미토의 을목 중기의 충)

자오(子午) 축미(丑未) 진술(辰戌) 인신(寅申) 묘유(卯酉) 사해(巳亥)

 

  • 인신충과 묘유충의 금목상충은 관절통, 요통, 두통, 등 통(痛) 자 항렬의 질병이 있을 수 있고, 수술, 사고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오충은 대표적으로 혈관계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수(水)화(火)의 충이여서 빠른 환경의 변화를 가져다주기도 합니다.
  • 진술축미 사고는 묘고와 창고를 의미하므로,  축미충과 진술충은 건강, 수명과 관련이 깊은데, 괴강살과 백호살의 충의 모습이라면 수명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문서의 매매 작용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실제예시)  여명으로 토(土) 관을 직업으로 사용하여 바쁘게 전국 팔도를 돌아다니는 업종에 종사하며, 부모궁이 깨져있어 어려서 부모이혼, 먼저 간 형제가 있음.

임(壬)
술(戌) 진(辰) 술(戌)
  • 사해충은 역마의 충으로 자리변동, 업장변동, 근무지변경 등 생활하는 공간의 변화를 가져다줍니다.

실제예시) 섬나라 외국인 사주로 무역업에 종사하며 해외출장이 매우 잦아 한 곳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고, 외국인과 결혼하였으며 업상대체(業象代替)를 잘 활용하여 살고 있는 예.

을(乙)
해(亥) 해(亥) 해(亥) 사(巳)

 

파(破)

자유(子酉) 축진(丑辰) 인해(寅亥) 오묘(午卯) 사신(巳申) 술미(戌未)

인신사해의 파는 인해합, 사신합의 육합으로 묶여 있기에 파의 작용력이 크지 않습니다.

  • 인해파는 인(寅)의 지장간 戊, 丙, 甲 중 병화(丙火)가 해(亥)의 지장간 중 戊, 甲, 壬의 임수(壬水)에게 극을 당하여 빛을 잃기 때문
  • 사신파는 사(巳)의 지장간 戊, 庚, 丙 중 병화(丙火)가 신(申)의 지장간 戊, 壬, 庚 중 임수(壬水)에게 극을 당하여 빛을 잃기 때문

자오묘유의 파는 금생수, 목생화의 구조를 띄고 있기에 이 또한 파의 작용력은 적습니다.

  • 자유파는 유금(酉金)이 금생수로 물을 공급해 주려하나 유금은 신(申)에 비해 원활한 물줄기 공급원이 되지 못합니다.
  • 오묘파는 묘목(卯木)이 오화(午火)를 생해주려고 하나 습목은 땔감의 화력으로 충분치 않습니다.

진술축미의 파는 붕충(朋沖)이라 하여 토들의 기운으로만 있기에 파의 작용은 미미하나 술미 개고의 흉의는 있습니다.

  • 술미파는 형으로도 작용되며, 술(戌)의 지장간 辛, 丁, 戊 중 신금이 미(未)의 지장간 丁, 乙, 己 중 을목을 해하려 하는 모습

 

해(害)

자미(子未) 축오(丑午) 인사(寅巳) 묘진(卯辰) 신해(申亥) 유술(酉戌)

육합의 기운을 방해한다는 의미로 오미합을 오충으로, 오미합을 미충으로, 사신합을 신충으로, 진유합을 유충으로, 인해합을 인충으로, 묘술합을 묘충으로 합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사주에서는 크게 적용하여 풀이하지 않습니다.

 

사주 명리학에서 형(刑), 충(沖), 파(破), 해(害)는 개인의 운명과 삶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갈등과 변화를 나타내는 요소들입니다. 이 개념들은 단순한 충돌을 넘어서 인간관계, 건강, 재물, 직업 등에 영향을 미치며, 그 작용이 나타나는 시기나 위치에 따라 삶의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 이러한 관계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어려운 시기를 미리 대비하거나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주를 통해 자신의 형, 충, 파, 해를 잘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을 지혜롭게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