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십성(十星)의 개념과 십성별 의미

by 목원 穆湲 2024. 9. 19.
728x90
반응형

십성(十星) 이란?

사주에서 십성(十星)은 십신(十神)이라고도 하며,개인의 운세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각 성격과 특성을 통해 사람의 성향, 운명, 그리고 삶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주 팔자의 오행 관계도는 비겁(比劫), 식상(食傷), 재성(財星), 관성(官星), 인성(印星) 으로 나뉘며, 이를 음양에 따라 10가지로 세분할 수 있습니다. 사주는 일간을 기준으로 상생과 상극의 원리에 따라 이해할 수 있으며, 비겁 → 식상 → 재성 → 관성 → 인성 순서로 오행이 서로 생(生)하는 관계를 자주 접하다보면 극(剋)의 관계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1. 비겁(比劫)

  • 비견(比肩): 나와 음양이 같다.
  • 겁재(劫財): 나와 음양이 다르다.
갑(甲) → 비견 갑(甲) 을(乙) → 겁재
인(寅) → 비견 묘(卯) → 겁재 ㅇ 

2. 식상(食傷)

  • 식신(食神): 내가 생해주고 음양이 같다.
  • 상관(傷官): 내가 생해주고 음양이 다르다.
병(丙) → 식신 갑(甲) 정(丁) → 상관
오(午) → 상관 사(巳) → 식신  

3. 재성(財星)

  • 편재(偏財): 내가 극하고 음양이 같다.
  • 정재(正財): 내가 극하고 음양이 다르다.
무(戊) → 편재 갑(甲) 기(己) → 정재
술(戌) → 편재 미(未) → 정재  

4. 관성(官星)

  • 편관(偏官): 나를 극하고 음양이 같다.
  • 정관(正官): 나를 극하고 음양이 다르다.
경(庚)→ 편관 갑(甲) 신(辛) → 정관
신(申) → 편관 유(酉) → 정관  

5. 인성(印星)

  • 편인(偏印): 나를 생해주고 음양이 같다.
  • 정인(正印): 나를 생해주고 음양이 다르다.
임(壬) → 정인 갑(甲) 계(癸) → 정인
자(子) → 정인 해(亥) → 편인  

 

만세력에서 생년, 월, 일, 시를 입력하여 사주 팔 자를 분석하면 그 관계를 익히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는 예시로 무작위로 생성한 사주를 활용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와 음양이 같으면 비견(比肩), 식신(食神), 편(偏) / 나와 음양이 다르면 겁재(劫財), 상관(傷官), 정(正)

  • 갑(甲) 과 똑같은 비견(음양이 같음) 인(寅), 갑(甲)의 경쟁 상대 겁재(음양이 다름) 을(乙)
  • 갑(甲)이 극하면 재성 정재(양과 음으로 다름)- 기(己), 편재(양으로 같음)- 무(戊)
  • 자(子)에게 생을 받는 정인(양과 음으로 다름) 
  • 갑(갑)을 극하는 편관(양과 양으로 같음) 경(庚)
  • 갑(甲)이 생하는 식신(양으로 같음)병(丙), 상관( 양과 음으로 다름)오(午)

십성을 길한 것과 흉한 것으로 나뉘는데 정재(正財), 편재(偏財)는 길흉을 논하지 않고 吉로 해석합니다. 현대 시대에는 이러한 단편적 분류를 크게 적용하지 않습니다. 편관이 있어도 출세하는 사람이 있고, 상관을 놓으면 독창적 아이디어로 성공하는 사람도 있으므로 먼저 사주 구조를 파악 후 그에 따른 길(吉), 흉(凶)을 간명하시기 바랍니다.

  • 사길신(四吉神) - 정인(正印), 정관(正官), 식신(食神), 재성(財星)
  • 사흉신(四凶神) - 겁재(劫財), 편인(偏印), 편관(偏官) 또는 칠살(七殺), 상관(傷官)

십성별 육친(六親) - 가족관계의 모습

1. 비겁(比劫)

  • 여명(女名) : 형제 , 동료, 친구, 시아버지
  • 남명(男名) : 형제 , 동료, 친구, 며느리, 처남

2. 식상(食傷) 

  • 여명(女名) : 자식, 조모, 외조부
  • 남명(男名) : 장모, 조모, 사위

3. 재성(財星)

  • 여명(女名) : 부친, 시어머니
  • 남명(男名) : 부친, 처, 애인

4. 관성(官星)

  • 여명(女名) : 남편, 외조모, 며느리, 애인
  • 남명(男名) : 자식

5. 인성(印星)

  • 여명(女名) : 모친, 조부, 사위
  • 남명(男名) : 모친, 조부, 장인

사주에서 각 육친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육친의 모습이 없다고 그 육친이 없는 것이 아니라 합신(合神)에 의해 육친이 자리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십성별 육친의 개념을 이해하시고,  다음 시간에 합신에 의한 육친의 구별법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겠습니다.

 

십성별 의미

  • 비견(比肩) : 나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형제/ 동료, 동업
  • 겁재(劫財) : 나의 재물을 겁탈해 가는 형제/ 동료, 동업, 경쟁심리, 갈등
  • 식신(食神) : 나의 의식주를 위한 활동, 먹을 복, 감성적, 소통중시, 표현력, 기술, 재능, 부하직원, 아랫사람
  • 상관(傷官) : 나의 행동으로 관(官)을 상하게 함, 비판적 사고, 분석적, 창의력, 독립적 성향, 자유분방, 혁신, 야당성, 부하직원, 아랫사람
  • 편재(偏財) : 사업적 재물의 크기, 모험, 개척, 일확천금, 로또, 유동적 재물, 연애결혼, 유희(遊戱)
  • 정재(正財) : 고정된 수입, 안정된 자산, 계획적, 근면성실, 검소, 중매결혼
  • 편관(偏官) : 스트레스, 권력, 지배력, 리더십, 카리스마, 투쟁, 임기응변, 권모술수, 예민
  • 정관(正官) : 월급쟁이, 공적, 규칙, 질서, 책임감, 손님, 감투, 고지식, 보수적, 명예, 자존감, 국가
  • 편인(偏印) : 편중된 사고, 기발한 아이디어, 게으름, 철학/종교/심리의 특수 공부, 기술적 학문, 순발력, 이타심, 눈치
  • 정인(正印) : 스승, 선생님, 윗사람, 도장, 상사, 공부, 문서, 보편적 학문, 자격증, 계약, 권리증, 연구, 인내심, 자존심, 동정심, 배려심, 상속/증여, 결제권

이와 같은 십성의 특성을 통해 성향과 심리를 분석하고, 개인의 진로를 조언할 때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각 사람의 사주에 따라 어느 요소가 강하거나 약한지에 따라 적합한 직업이나 삶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십성 해석은 사주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4.09.06 - [분류 전체보기] -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사주의 가장 기본이 되는 첫 걸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