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支藏干)
인류는 천지인 삼원의 구조로 되어 있어 하늘과 땅, 땅 속인 지장간의 모습을 의미합니다. 지지(地支) 안에 숨겨진 천간(天干)을 뜻하는 개념으로 12개의 지지(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는 각각 고유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안에는 천간의 기운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지장간은 사주에서 보이지 않는 힘이나 사건과 같은 잠재적인 요소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시기에 이 내재된 기운이 활성화되거나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餘氣), 중기(中氣), 본기(本氣)
30일 동안 각 글자의 기운이 머물고 있는 일수를 나타내며, 여기는 전 달의 본기가 넘어와 남아있는 기운이고, 중기는 삼합의 록(祿)이며, 본기는 자기 기운을 나타냅니다.
- 인(寅), 신(申), 사(巳), 해(亥) 9일 : 3일 : 18일
인(寅), 신(申), 사(巳), 해(亥)의 생지(生地)는 모두 천간의 양의 기운들로만 모여있으나, 그중 인(寅)과 신(申)은 전 월(月)의 본기인 기(己)를 그대로 가져다 쓰지 않고 생지의 양 기운인 무(戊)로 통일시켜 차용한 허상의 기운이므로, 표기만 할 뿐 사용하지 않습니다.
- 자(子), 묘(卯), 유(酉) 10일 : 20일/ 오(午) 10일 : 10일 : 10일
자(子), 오(午), 묘(卯), 유(酉)의 왕지(旺地)는 천간의 음양 기운이 섞여 있고, 중기가 없이 여기와 본기로만 이루어져 있으나, 오(午)만이 화의 세력을 조절해 주는 기(己)가 중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진(辰), 술(戌), 축(丑), 미(未) 7일 : 7일 : 16일
진(辰), 술(戌), 축(丑), 미(未)의 고지(庫地)는 천간의 음양 기운이 섞여 있고, 축(丑)와 미(未)는 천간의 음의 기운들로만 진(辰)와 술(戌)는 천간의 음양 기운이 섞여 있습니다.
절기(節氣)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나누어진 24개의 시기, 즉 1년을 24 등분하여 약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는 한 해 동안 변화하는 계절을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양력)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는 1년을 365일(365.2422)이 걸리며, (음력) 달이 차고 저무는 것을 기준으로 한 달 30일(29.5일)로 정하여 1년이면 354.37일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양력과 음력의 약 11일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농사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4년마다 윤달을 집어넣어 음력을 기준하여 양력의 성격을 대입해 계절의 변화를 유추하는 절기가 생기게 된 것입니다.
지장간 각 글자가 머무르는 기간 동안 기세를 보기 위해서 절기는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태음태양력 사용으로 양력 기준 절기의 첫 시작은 입춘(立春)이며, 입춘을 기점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것이여서, 새해 1월 5일에 태어났다 하더라도 그전 해의 띠로 사주풀이를 해야 합니다. 절기는 보통 매 월 첫째 주에 들어있으며, 중기는 매 월 셋째 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 입춘(立春) - 2월 4일 또는 5일 새해의 시작일이며, 봄의 시작을 알리는 날입니다.
- 중기는 우수(雨水) -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가 내리며 싹이 움트는 시기입니다.
- 경칩(驚蟄) -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로 모든 만물이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춘분(春分) -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의 길이가 서서히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 청명(淸明) - 4월 4일 또는 5일 농사의 준비를 하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곡우(穀雨) - 4월 20일 또는 21일 봄의 마지막 단계이며, 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하는 시기입니다.
- 입하(立夏) -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소만(小滿) - 5월 21일 또는 22일 햇볕을 받은 만물이 성장하는 시기입니다.
- 망종(芒種) - 6월 5일 또는 6일 씨를 뿌려 작물을 키우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하지(夏至) - 6월 21일 또는 22일 연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때입니다.
- 소서(小暑) - 7월 7일 또는 8일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대서(大暑) -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극에 달하는 시기입니다.
- 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 서서히 더위가 가시기 시작하면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때입니다.
- 중기는 처서(處暑) - 8월 23일 또는 24일 무더위는 물러가고 일교차가 큰 시기입니다.
- 백로(白露) - 9월 7일 또는 8일 첫 이슬이 내리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추분(秋分) -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 한로(寒露) -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 중기는 상강(霜降) - 10월 23일 또는 24일 차가운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 입동(立冬) -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소설(小雪) -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 대설(大雪) -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눈이 많이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동지(冬至) - 12월 21일 또는 22일 연중 밤이 가장 긴 시기이며, 아세(亞歲)로 작은설을 의미하며 붉은 팥을 싫어하는 악귀를 물리치기 위해 팥죽을 먹는 날이기도입니다.
- 소한(小寒) - 1월 5일 또는 6일 겨울의 가장 혹독한 추위를 겪는 시기입니다.
- 중기는 대한(大寒) - 1월 20일 또는 21일 가장 추운 시기를 지나 눈이 얼고 녹고를 반복하며 땅에 수분을 공급하며 봄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입니다.
명암합(明暗合)
천간(天干)과 지장간(支藏干)의 합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암암리에 하는 합으로, 천간의 합과 마찬가지로 정재(正財)와 정관(正官)의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천간과 지장간의 본기와 암명합 하는 것으로는 정해(丁亥), 임오(壬午), 무자(戊子), 신사(辛巳)가 있고 그 외는 여기나 중기와 암명합하는 갑오(甲午), 을유(乙酉), 을사(乙巳), 병술(丙戌), 무진(戊辰), 기묘(己卯), 기해(己亥), 경진(庚辰), 임술(壬戌), 계사(癸巳), 계해(癸亥)가 있습니다.
- 정해(丁亥) - 정임합
ㅇ | 丁 | ㅇ | ㅇ |
ㅇ | 亥(戊, 甲, 壬) | ㅇ | ㅇ |
- 임오(壬午) - 정임합
ㅇ | 壬 | ㅇ | ㅇ |
ㅇ | 午(丙, 己, 丁) | ㅇ | ㅇ |
- 무자(戊子) - 무계합
ㅇ | 戊 | ㅇ | ㅇ |
ㅇ | 子(壬, 癸) | ㅇ | ㅇ |
- 신사(辛巳) - 병신합
ㅇ | 辛 | ㅇ | ㅇ |
ㅇ | 巳(戊, 庚, 丙) | ㅇ | ㅇ |
암합(暗合)
지장간(支藏干) 끼리 은밀히 숨어서 몰래 하는 합으로 인생의 희로애락, 비밀, 애정사, 욕심, 육친의 이별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술자(戌子) - 정임합(丁壬合), 무계합(戊癸合)
- 축인(丑寅) - 무계합(戊癸合), 병신합(丙辛合), 갑기합(甲己合)
- 해오(亥午) - 갑기합(甲己合), 정임합(丁壬合)
- 묘신(卯申) - 을경합(乙庚合)
- 미인(未寅) - 갑기합(甲己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