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블완3 추명가 자손궁에 대한 설명 추명가 자손궁경진일에 경진 시는 자녀의 익사사고 있고, 일과 시에 고초살이 연이어 있게 되면 큰 아들이 다리를 전다(長子蹇脚)남명에게 화가 자식이 되는데 진시는 수의 고장으로 수기가 왕성하여 자식궁을 수극화로 극하게 되니 익사사고로 본다.여명의 경우는 진토가 수 식상의 고장이 되어 자식의 한이 있게 되는데 자식이 물속에 있는 형국이라 익사로 보는 것이다.일과 시가 진진 자형으로 놓이니 자손궁이 흉이 되는 것으로 본다. 고초살은 월살로써 십이 신살에 해당되고 화개(辰, 戌, 丑, 未) 를 충하는 것이다.질병에 시달리고 말라간다는 살로써 밭에 씨앗을 뿌려도 발아가 안되고 닭이 알을 품어도 부화가 안 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시작은 원대하나 끝은 성과가 없음을 뜻한다.사람의 육체적인 면으로 볼 때 이목구비 .. 2024. 11. 14. 사자성어 이야기 고육지책(苦肉之策) 고육지책(苦肉之策) '자신의 몸을 희생하면서까지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의 희생을 감수하면서도 목적을 이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쓰는 계책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괴로울 고 苦 - 총 8획, 부수: 초두머리 초 艹 고기 육 肉 - 총 6획, 부수: 고기 육 肉 갈 지 之 - 총 4획, 부수: 삐침 별 丿 꾀 책 策 - 총 12획, 부수: 대죽 죽 竹 유래 고육지책의 유래는 중국 삼국시대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고사성어는 촉나라의 제갈량(諸葛亮)과 오나라의 주유(周瑜)가 함께 위나라의 조조(曹操)를 물리치기 위해 계략을 꾸민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당시 위나라의 조조가 오나라를 공격하려 하자, 오나라의 주유는 조조의 군대를 분열시키기 위해 장수.. 2024. 11. 8. 계해일주론 계해(癸亥) 일주 60 갑자의 마지막에 위치한 계해일주는 모든 활동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막힘없이 유유히 흐르는 물과 같습니다. 계수 일간이 해수 제왕지에 놓여 있어 강한 추진력을 지니고 있으며, 임수 겁재가 왕궁 록지에 있어 경쟁심이 강하고 성패의 부침을 겪을 수 있습니다.계해일주는 갑목 상관이 왕궁 생지에 있어 두뇌가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납니다. 해수 천문을 놓아 고요하고 어두운 밤에 정신적 고찰을 깊이 하는 시간으로, 영감이 발달하여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이 있습니다.계해일주는 흔히 '바둑판 사주'로 불리는데, 이는 빠르지 않고 느리게 움직이지만 앞을 더 길게 내다보는 신중함 때문입니다. 정관 무토가 절지에 놓여 있어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오랫동안 유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반 회사원의 직업이 .. 2024. 11. 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