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사자성어 이야기 - 단기지교(斷機之敎) 단기지교(斷機之敎) 학문에 매진하는 자세와 중도 포기를 경계하는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입니다.    끊을 단 斷  - 총 18획,  부수: 도끼 근 斤 베틀 기 機  - 총 16획  , 부수: 나무 목 木 갈 지 之  - 총 4획,  부수: 삐침 별 丿 가르칠 교 敎  - 총 11획,  부수: 등글월문 攵   이 사자성어는 중국 전한(前漢) 시대의 학자 맹자(孟子)와 그의 어머니 사이에 있었던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맹자는 어릴 때부터 어머니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랐습니다. 그는 처음에는 학문에 몰두했으나, 점차 게으름을 피우고 학문을 중단하려고 했습니다. 어느 날, 맹자가 공부를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오자, 어머니는 이를 보고 아무 말 없이 베틀에서 짜던 베를 칼로 끊어버렸습니다.맹자가 어리둥.. 2025. 2. 10.
계축일주론 계축(癸丑) 일주계수가 축토에 관대궁으로 놓이고, 기토가 칠살이면서 음간의 양인이자 백호대살로서 엄동설한의 차가운 성향이 잘 드러납니다. 본인의 기준에 맞지 않다고 생각되면 단호하게 거부하거나 거절합니다.축토 속 辛금의 냉한 자갈밭을 나타내어 축축하고 온전한 자양이 되어 주지 못하는 토양, 또한 축토의 천액성은 시체를 마디마디 묶는 형상으로 척추, 관절의 질병으로 고생할 수 있습니다.축토는 소처럼 일하는 부지런함, 끈기를 나타내고 자정이 지나고 제일 어두운 시간을 의미하여 고독함을 의미합니다.암장된 계수 비견과 관을 다투기에 경쟁 심리가 강하고 辛금 인수의 힘도 강하여 고집이 세기 때문에 가족관계나 여타 대인관계에 있어서 원만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인성 辛은 양지로 놓여 일반적 학문 보다는 예술, .. 2025. 2. 10.
일덕격(日德格) 일덕격(日德格)일덕격(日德格)의 구성은 갑인, 병진, 무진, 경진, 임술의 다섯 일주로써 성립되며, 일주 신왕함과 신왕해지는 운을 만나게 됨을 가장 기뻐하게 되고 형/충/파/해, 관성과 재성이 왕하거나 공망, 재차 괴강을 놓아 진술충이 일어남을 꺼리게 된다.재관이 있어 그 기세가 강하다면 타격(他格)으로 논해야야 하는 한계점이 있으니 사주 구성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일덕격을 갖춘 이가 신왕운을 벗어나 쇠하는 길로 들었을때 괴강이 도래에 극을 하여 온다면 그 때는 죽음의 길 밖에 없는데 만약, 아직 발복하여 보지 못한 격은  대운에서 괴강의 운을 만난다면 재앙과 환난이 일어나면서 일변하여 크게 발복하는 것이나 신왕하여 발복한 세월을 보내왔던 격은 대운에서 만나는 괴강의 운에서 반드시 죽게 된다는 것이다.. 2025. 2. 7.
진법무민(盡法無民) 진법무민(盡法無民)진법무민(盡法無民) 이란 관살의 세력이 다하여 따르는 자가 없다는 뜻이다.법이란 관(官)의 규율을 말하는 것이고 무민(無民)이란 백성을 잃어 따르는 자가 없다는 뜻이다.다시 말하면 사주팔자에 관살이 과도하게 제어를 받아 위엄이 타락하여 힘을 잃는 것이다.   계선편에 이르길 칠살(七殺)은 제복됨이 기쁜것이나 칠살을 지나치게 제복하는 중 운에서 다시 제살하는 것을 가리켜 진법무민이라고 한다,관이 지나치게 제어당함은 남명에게 육친으로 보아 자녀가 되어 자녀를 극하고, 또 사회적으로는 직위의 삭탈몰락되며 관살용신이 손상하여 마침내 수명이 다하게 되는 것이다.나를 극하는 것이라 하여도 적당히 제하면 나에게 복종함으로 나에 이로운 것이 되지만 너무 과하게 제라여 불구 또는 사망케 하였다면 그때는.. 2025. 2. 3.
재관쌍미격 이란? 재관쌍미(財官雙美)육십갑자 중 계사일주와 임오일주에만 해당되는 것이며, 사주에 정재와 정관이 둘 다 한곳에 놓여 있어 아름답다는 뜻이다. 계수일간 巳 宮이면 巳중 정재 병화와 정관 무토가 한 쌍으로 같이 놓여 있어 아름답다는 것이고, 임수일간 午 宮이면 午중 정재 丁화와 정관 己토가 한 쌍으로 같이 놓여 있어 아름답다는 설명이다.  계수 일간에게 사화는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되기에 록귀동궁(祿貴同宮)이라고도 불린다.巳월 계수일간, 午월 임수일간 또한 재관쌍미로 보는데 일주가 신강해야만 재관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인수성이 金의 보조가 있거나 가을/겨울에 태어난 계사, 임오일주는 귀하게 되나, 봄/여름에 태어나면 일주의 힘이 약해지므로 기피하는 것이다. 또한 상관(傷官)은 일주의 힘을 약화시키고 官을 극.. 2025. 1. 31.
추명가 남명 성정편 추명가 남명 성정 편 갑을(甲乙) 일생 태운성격 의지곧고 뚝뚝하나 시종일관 불변하여 만인신망 얻어지네 甲, 乙 일생이라 하면 木일주인데 木일주가 신강하면 금으로 제어하기가 힘들어지고, 부드러움이 부족하기는 하나 강인함과 굳건함으로 마음먹은 일은 변함이 없어 사람들로부터 신망을 얻는다. 갑목은 천간의 시작으로 우두머리이고 우뢰이자 용, 계절로는 봄에 해당하며, 태초의 생명으로 항상 새로운 시작을 뜻한다. 나무일지라도 꺾이거나 쉬이 부러지지 않고 꿋꿋하며 다 자란 나무이므로 쓰임새가 있게 된다. 을목은 바람, 넝쿨, 새를 형상하고 갑목과는 다른 유연함을 지니며 자유롭다. 을목이 많은 사람은 일찍 애정사가 일어나고 금기가 약하여지므로 얼굴색은 하얗고 호흡기 질환으로 고생을 하게 되며 노년에 풍질로 고생을 하는.. 2025. 1. 27.
728x90
반응형